꼭! 알아둬야 할 야외활동 응급처치
본격적인 여름이다. 산과 바다 등 야외활등이 늘어나는 시기이다. 그만큼 생각하지 못한 위험에 노출되거나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나와 나의 가족을 위해 응급처치법을 숙지해 두면 구급요원이 도착하거나 병원으로 이 하기까지의 귀한 시간을 벌 수 있다.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첫 응급조치가 환자치료의 성공여부를 결정한다고 말한다. 근자에 심심찮게 듣게 되는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한 응급처치법을 소개한다.
응급처치란(應急處治)는 말 그대로 응급적으로 간단하게 치료하는 것을 말한다.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자기 발생한 외상이나 질환에 대해서 주로 발생한 장소, 또는 반송된 의료기관에서 최소한도의 치료를 행하는 것을 말한다. 응급처치 후에는 반드시 의사와 상의를 해야만, 합병증과 후유증 등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다.
▶ 찰과상
가장 흔한 응급외상이다. 넘어지거나 부딪쳐서 피부가 벗겨지면서 피가 나고 쓰라린 통증을 느끼게 된다. 흙이나 풀 같은 이물질은 회복을 더디게 하고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니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물로 상처를 씻어 내는 것이 가장 좋다. 이후 반창고 등으로 상처 부위를 보호하자.
▶ 골절상
일반인이 골절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의심되면 무조건 골절로 생각하고 손상부위를 가능한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다. 정도에 따라 부목을 대주어 고정하면 치료에 큰 도움이 된다. 주위의 나무나 단단한 물체를 활용하면 되며, 종이박스나 신문지를 여러 겹 말아 사용해도 된다.
▶ 출혈상
날카로운 물체에 찔려 피가 날 경우 피의 성질을 살피자. 피의 색이 검붉고 출혈 부위를 압박할 때 멎으면 정맥출혈이니 상처부위를 깨끗이 하자. 선홍색 피가 박동을 치면서 뿜어나오면 동맥 손상이므로 위급상황이다. 상처를 낸 물체를 제거하고 수건이나 헝겊을 상처부위에 대고 압박해 지혈을 시도하자. 상처 윗부분을 졸라 묶는 것은 상황을 악화 시킬 수 있으니 가능한 시도하지 말자.
▶ 열상
피부가 찢어져서 생긴 상처를 말한다. 열상은 출혈이 많다. 열상의 정확한 부위를 확인한 후 깨끗한 수건이나 헝겊, 거즈 등으로 덮고 손으로 눌러서 지혈을 하자. 지혈제를 사용하면 상처 사이에 가루가 박혀 치료에 방해가 되니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열상은 대부분 봉합을 해야 하니 바로 응급실을 찾아가야 한다.
▶ 열사병
즉시 911에 도움을 요청하거나 가까운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이송중 체온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니 환자의 옷을 벗기고 몸에 물을 뿌려주거나 젖은 수건으로 몸을 닦아주자. 열사병은 더운 환경에 오래 노출될 경우, 뇌의 체온 조절 기능이 장애를 일으키면서 발생한다. 몇분만에 의식을 잃게 되며, 일사병이라고도 한다.
▶ 뱀에 물렸을 때
물리면 2개의 독이빨 자국이 난다. 환자를 편안히 눕히고 상처부위를 씻어내고 상처의 윗부분 즉, 심장에 가까운 곳을 손가락 하나가 들어갈 정도로 가볍게 묶어두고 도움을 청하자. 반드시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상처부위로 칼로 째거나 입으로 빠는 것은 상처를 오히려 나쁘게 할 수 있다. 움직이면 독이 빨리 퍼진다.
▶ 벌레에 물렸을 때
벌에 쏘였을 때는 즉시 벌침을 제거해야 한다. 호흡 곤란, 쇼크나 알레르기 반응이 있다면 즉시 병원으로 이송하자. 벌레가 귀에 들어간 경우 음식용 오일, 베이비 오일 등을 부어 떠오르게 해 제거하거나 알코올을 부어 벌레를 죽인 후 제거하자. 불빛을 비추거나 면봉을 사용하면 벌레가 자꾸 움직여 고막이나 외이의 손상을 가져온다.
▶ 해파리에 쏘였을 때
보통 통증과 피부발진 정도에 그치지만 혈압저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보일 경우 즉시 병원으로 이송하자. 쏘인 부위를 바닷물로 씻어내고 촉수를 빼내자. 민간요법으로 알려진 식초를 상처에 바르는 것은 절대 금기이다. 종류에 따라 식초가 좋은 치료제가 되지만 일반인이 상처를 보고 해파리 종류를 구분한다는 것은 실상 불가능하다
알아두면 응급처치가 아닌 생명을 살릴 수 있는 '하임리히법'
기도가 이물질로 인해 막혔을 때
1) 어른의 경우: 환자의 뒤에서 허리를 양팔로 감고 한쪽다리는 환자의 양다리 사이에 둔다. 한손은 주먹 쥐어 환자의 배꼽과 명치 사이에 두고 다른 손으로 감싸며 빠르게 세게 위로 밀쳐 올린다. 이물질이 밖으로 나오거나 환자가 의식을 잃을 때까지 계속한다. 임산부나 비만일 경우 흉부를 밀쳐 올린다.
2) 영아인 경우: 아이의 얼굴을 위로 향하도록 자신의 한쪽 팔 위에 올려놓고 손으로는 아이의 머리를 받쳐준다. 다른 팔을 이용해 아이의 턱을 잡고 아이의 얼굴이 아래를 향하도록 뒤집는다. 아이가 한팔위에 엎드려 있는 형상으로 만든 후 손바닥으로 아이의 어깨뼈 사이등 부분을 5회 정도 두드린다. 다시 다른 팔로 아이를 옮긴다. 아이가 한팔 위에 누운 형상이 되고 얼굴은 위를 향한다. 양쪽 젖꼭지 선의 한손가락 밑에 검지와 중지를 대고 5회정도 밀쳐 올린다. 입안에 이 물질이 확인되면 제거하고 안되면 다시 반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