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칼럼] 한번 회장이면 영원한 회장? -한인단체 진단 시리즈(2)

지난호에 이어 한인단체들의 운영방식과 문제점에 관련하여 진단을 해본다.

사람들이 모여사는 사회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모임이나 단체가 결성된다. 작게는 친목회, 동호회들이 있을테고 규모가 커지면서 클럽이나 협회로 조직을 갖춘 단체도 있다. 회원들이 수 십명 이상이 되면 나름대로의 회칙(정관)을 만들어 조직과 규칙등을 명기하여 운영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한인단체를 보자면, 각 지역의 한인회, 노인들이 주축이 된 노인봉사회, 상공인들의 모임인 상공회의소, 체육인들의 연합체인 체육회 등이 있다. 그외 직능단체로 세탁협회, 식품상협회, 부동산융자협회, 한국학교협의회 등이 규모를 갖춘 단체로 분류된다. 물론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라는 단체도 있지만 한국정부 산하의 단체이기에 이들 단체와는 성격이 다르다.

그외에도 호남향우회, 충청향우회, 해병전우회, 6.25참전유공자회, 축구회, 라이온스클럽, 각대학 동문회 등이 북가주지역에서 활동이 활발한 단체들이었다. 이 단체들이 연말즈음에는 대체적으로 모임을 갖거나 정기총회를 통해 새 회장단을 선출하는게 통례가 되고 있다. 정기총회나 송년파티 등 큰행사를 가질때는 언론사 기자들을 초청하여 취재와 보도를 요청하기도 한다.

20년 가까이 이 한인단체들의 행사를 취재해온 본 기자가 느끼는 것은, 단체마다 운영방식이 천차만별이고 사회적으로 칭찬받을 만한 단체가 있는가 하면, 지탄받기에 충분한 엉성한 단체도 많다는 것이다. 회원들의 권익을 위해, 지역의 어려운 이웃을 위해, 자라나는 청소년들을 위해 봉사하는 모범적인 단체도 많다. 하지만 회장을 서로하겠다고 싸워서 결국 둘로 나눠지거나 공금유용으로 분란을 일으키기도 하고 회장을 혼자 장기독점 하는 단체도 있다.

사업에 성공하여 어느정도 재력을 갖추고 사회에 봉사하겠다고 나서는 사람도 있지만, 명예와 감투만을 얻기위해 한인단체들을 찾는 권력지향형 인사들도 많다. 한인들이 모이는 행사에 가서 어느단체 회장이라고 소개받기도 하고 축하연설을 부탁받기도 하기에 짜릿한 기분을 느낄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소소한 예우에 물들다 보니 이 '회장'이라는 직책을 다른사람에게 넘겨주기가 아깝다는 생각이 드나보다.

얼마전 해외 한인사회를 지원하고 관리하는 본국 재외동포재단의 이사장이 북가주를 찾아서 간담회를 가진 바 있다. 김성곤 이사장은 세계 각지역의 한인회 활동을 평가하며 낯뜨거운 지적을 했다. 미주지역 한인회총연합회(미주총연)는 내분을 겪는 문제단체로 판정되어 산하의 모든 한인회들도 본국초청이 금지되어 있다고 한다. 결국은 몇사람의 감투싸움이 지역한인들의 얼굴에 먹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시대가 변하며 리더십의 의미도 변해가고 있다. 과거의 제왕적이고 카리스마 넘치는 리더들이 물러가고, 회원들과 소통하며 말없이 행동하는 리더들이 주목받는 시대가 되었다. 그래서 권력도 한 사람에 집중되지 않고 서로 견제하며 팀워크로 운영하는 회사나 단체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떠나야 할 때를 알고 떠나는 사람의 뒷모습은 아름답다'는 싯구가 가슴에 와 닿는다.

박성보 기자
샌프란시스코 저널